본문 바로가기
  • 당신은 참 괜찮은 사람입니다!
  • 당신은 사랑 받기에 충분합니다!
세상좋은 꿀팁/[정책 지식] 정부의 정책

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 계산 방법 "모의계산" 한 번에 정리!

by 창의날다 2025. 5. 19.

차상위계층 혜택을 받고 싶은데 우리 가족이 해당되는지 헷갈리신다고요? 지금부터 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과 계산 방법, 그리고 중요한 환산액 비율까지 완벽하게 설명드립니다.

 

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 계산 방법
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 계산 방법

 

정부 복지제도 중 하나인 차상위계층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에게 혜택이 주어지며, 단순히 월급만 보는 게 아니라 소득인정액이라는 복잡한 계산식을 적용해 자격 여부를 판단합니다. 지금부터 모르면 손해 보는 내용을 쉽게 풀어드릴게요.

 

2025 차상위계층 선정 및 신청 방법 (복지로, 오프라인)

 

차상위계층 디딤씨앗통장 신청 하세요 "5만원 넣고 10만원 받기!"

 

1. 차상위계층 소득인정액이란?

차상위계층 여부를 판단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단순한 월급이 아니라 '소득인정액'입니다. 이는 다음 두 가지를 더한 값입니다.

  • 소득평가액 = 실제 소득에서 일부 공제를 뺀 금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주택, 금융자산 등을 소득처럼 계산한 금액

이 두 금액을 합쳐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 이하일 경우 차상위계층으로 분류됩니다.

 

국내 최대 크기 다이소 가봤어요? 1위~5위 소개

 

가성비 최강 인기 로봇청소기가 20만원대!

2. 소득평가액 계산 방법

소득평가액은 실제 수입에서 각종 공제 항목을 제외하고 계산합니다.

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 계산 방법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 계산 방법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 계산 방법
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기준, 계산 방법

 

  •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등 모든 월 소득 합계
  • 여기서 가구 특성별 지출비용 차감
  •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30%는 추가 공제

예시: 월 200만 원 근로소득 → 30% 공제 후 140만 원으로 평가

 

 

 

3. 재산의 소득환산액 계산 방법

재산의 소득환산액은 부동산, 금융자산, 자동차 등 모든 재산에서 기본재산액을 뺀 후 환산율을 곱해 월 소득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 기본재산액 (2025년 기준)
    • 대도시: 6,900만 원
    • 중소도시: 4,200만 원
    • 농어촌: 3,500만 원
  • 기본재산액 + 부채는 공제
  • 금융재산의 환산율: 연 5% (→ 월 4.17%)

예시 1: 대도시 거주자가 주택 5,000만 원 보유 → 기본재산액 6,900만 원보다 작아 환산액 없음
예시 2: 금융재산 1,000만 원 보유 → 1,000만 × 4.17% = 월 41,700원

 

 

 

 

4. 최종 소득인정액으로 자격 확인하기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이 합계가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 차상위계층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50% 기준 (2025)
1인 약 119.6만 원
4인 약 304.8만 원

각 가구 인원수에 따라 기준이 다르니, 해당 수치를 기준으로 자신의 소득인정액을 비교해 보세요.

 

 

5. 복지로 모의계산으로 쉽게 확인!

복지로 모의계산 서비스에서는 복잡한 계산 없이도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소득·재산 정보와 가구원 수만 입력하면 한눈에 자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해보세요!

 

차상위계층 소득 재산, 차상위계층 계산 방법, 재산 환산액 비율, 중위소득 50%, 소득인정액 기준, 복지로 모의계산, 차상위 자격요건, 금융재산 환산율, 차상위 혜택, 복지 조건

728x90

댓글